메이플스토리 직업 티어표 완벽 가이드 (2025)
이 글은 먼저 팩트를 정리하고(직업군·신규/밸런스 동향·서버 특성), 이어서 콘텐츠 유형별 티어표와 추천 루트, 사례 비교를 제공합니다. 수치와 평가는 보스/사냥, 조작 난이도, 파티 시너지, 리부트/일반 서버 차이를 함께 고려했습니다. 표는 하늘색으로 5개 포함되어 있으며, 맨 끝에는 종합 의견을 덧붙였습니다.
1) 먼저 확인하는 팩트(2025 최신 흐름)
- 직업 수·계열: 메이플스토리는 45개 이상의 다양한 직업을 제공하며(전사·마법사·궁수·도적·해적·시그너스·레지스탕스·노바·아니마 등), 신·구 직업이 공존합니다.
- 2025 여름~가을 업데이트: KMS(한국 라이브)에서 여름 쇼케이스 이후 신규 아니마 전사 ‘렌’이 공개/적용되었고, 6차 스킬 확장 및 추가 보스, 지속적인 스킬 밸런싱 로드맵이 안내되었습니다.
- 시스템 개편: 2025 상반기에는 스타포스 상한 상향(30성)을 포함한 성장 구조 개편과 편의/UI 개선, 기념 이벤트가 있었고, 하반기에도 연속 밸런싱이 예고/진행 중입니다.
- 서버 특성: 리부트 서버는 현금 강화 요소가 배제되고 메소 파밍·자급자족 중심의 설계, 일반 서버는 거래/큐브 등 외부 자원을 통한 성장 선택지가 넓습니다.
항목 | 설명 | 가중치 | 평가 포인트 |
---|---|---|---|
보스 성능 | DPM·폭발력·무적/생존·기믹 대응 | 40% | 장기 페이즈 지속딜/단기 타이밍 폭딜 |
사냥(몰이) | 범위/주기/맵 장악·기동성 | 30% | 리젠 주기, 층 맵 호환성 |
조작 난이도/편의 | 핵심 로테이션 난도·자원관리·생존 난이도 | 20% | 입문 난이도, 오류 허용폭 |
파티 시너지 | 버프/디버프·유틸·보호 | 10% | 레이드 기여도·구인 수요 |
2) 보스 티어 (KMS 기준 경향/예시)
보스 설계가 다층 페이즈·기믹 중심으로 고도화되며, 지속딜 안정성과 필수 무적/유틸, 타이밍 폭발력의 균형이 중요해졌습니다. 아래는 2025년 중·후반 패치 흐름을 반영한 경향표입니다.
티어 | 특징 | 대표 예시(일부) | 한줄 코멘트 |
---|---|---|---|
S | 지속딜·폭딜·생존의 종합 밸런스 우수 | 아델, 라라, 카인, 호영, 나이트워커 | 패턴 적응 후 안정적인 페이즈 처리 |
A | 상위권 화력 또는 특화 유틸 강점 | 팔라딘, 보우마스터, 듀얼블레이드, 바이퍼, 아크메이지(썬콜) | 세팅·숙련 따라 S와 격차 축소 |
B | 특정 보스/파티 구성이어야 강점이 극대화 | 히어로, 섀도어, 캡틴, 메카닉 등 | 개편/6차 보강 시 급상승 여지 |
※ GMS 한정 직업(예: 칸나, 하야토, 제트)은 KMS 메타와 분리하여 보셔야 합니다(아래 지역차 표 참고).
3) 사냥(몰이) 티어 (KMS 기준 경향/예시)
사냥은 범위·맵 장악·주기가 핵심입니다. 층/세로형 맵 비중이 높은 구간에서는 대각선/벽 관통/텔레포트 기동이 체감 효율을 크게 좌우합니다.
티어 | 특징 | 대표 예시(일부) | 한줄 코멘트 |
---|---|---|---|
S | 넓은 범위+짧은 주기, 맵 장악 우수 | 라라, 호영, 아델, 패스파인더, 아크 | 피로도 대비 경험치 수급 탁월 |
A | 범용성·기동성 준수, 맵 상성 영향 낮음 | 보우마스터, 윈드브레이커, 섀도어, 소울마스터 | 루틴 잡히면 꾸준한 수익 구조 |
B | 맵 상성/기동 의존, 손이 바쁜 편 | 히어로, 캡틴, 데몬슬레이어 등 | 경험치 효율은 세팅·숙련 영향 큼 |
4) 서버별 추천(리부트/일반) 핵심만
직업 선택은 서버 특성과도 직결됩니다. 리부트는 자급자족·메소 파밍을, 일반 서버는 거래/큐브/장비 수급 전략을 상정해 운용하는 편이 안정적입니다.
구분 | 강점 | 유의점 | 추천 성향 |
---|---|---|---|
리부트 | 현금 강화 배제, 메소 파밍 보상↑ | 자급 세팅 부담, 초반 파밍 체력 요구 | 사냥 효율·자가 생존 높은 직업 우선 |
일반 | 거래/큐브 활용·장비 수급 선택지↑ | 외부 자원 의존도에 따라 편차 | 보스 지향·파티 시너지 직업도 유리 |
※ 두 서버 모두 링크/유니온 확보가 체감 성능을 크게 끌어올립니다. 부캐 운영이 가능하면 직업 선택 폭이 더 넓어집니다.
5) 지역(버전) 차이 간단 정리
메타는 지역별(한국/KMS, 글로벌/GMS 등)로 다르게 흐를 수 있습니다. 존재 직업, 패치 타이밍, 수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. 예를 들어 GMS에는 KMS에 없는 직업이 존재합니다.
항목 | KMS(한국) | GMS(글로벌) | 참고 |
---|---|---|---|
직업 라인업 | KMS 공용 직업군 중심 | 일부 한정 직업 존재(예: KMS 비존재 직업) | 티어표 해석 시 분리 필요 |
패치 타이밍 | 원 소스 | 시차 적용 | 동일 시즌이라도 수치 다를 수 있음 |
통계/커뮤니티 | 국내 포럼/Maple.GG 활용 | 레딧·글로벌 위키·커뮤니티 | 자료 출처를 늘려 교차 확인 |
6) 사례·비교 요약(운영 관점)
커뮤니티 리포트와 통계 추이를 함께 보면 공통점이 보입니다. 보스 메타에서는 지속딜과 타이밍 폭딜을 모두 갖춘 직업이 상위에 머물고, 사냥 메타에서는 맵 장악력과 주기 안정성이 체감 효율을 좌우합니다. 또한 2025년 들어 장비 강화·UI/편의 개편이 연이어 진행되면서, 같은 직업이라도 세팅 완성도에 따른 편차가 과거보다 커졌습니다.
선택의 실전 팁은 단순합니다. ① 즐길 콘텐츠를 먼저 고르고(보스 중심 vs 사냥 중심), ② 서버 특성을 확인한 뒤, ③ 난이도/편의에 맞는 직업을 고르되 부캐·멀티 클래스로 보완하는 구조를 추천드립니다. 이 순서만 지켜도 리부트/일반 모두에서 성장 피로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
의견과 후기(종합)
티어만 보고 고르는 시대는 점점 지나가고 있습니다. 보스·사냥·서버·난이도 네 축을 겹쳐서 보셔야 실제 만족도가 높습니다. 보스 비중이 큰 분은 생존/유틸이 갖춰진 상위권 근·원딜이, 사냥 비중이 큰 분은 범위·주기·맵 장악이 좋은 직업이 체감이 확실했습니다. 무엇보다 2025년은 연속 밸런싱이 예고된 해라서, 공식 패치 노트를 습관처럼 확인하는 루틴이 선택의 후회를 줄여줍니다.
마지막으로, 본문 표의 예시는 경향에 기반한 대표감일 뿐 절대치가 아닙니다. 통계 사이트와 패치 공지를 함께 확인하면서, 본인이 즐길 콘텐츠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시면 장기적으로 더 재미있게 플레이하실 수 있습니다.
0 댓글